목록전체 글 (36)
경제 무지 탈출기

◼️ 실리콘투 스토리실리콘투는 국내 화장품을 확보해 해외 소매업체에 공급하는 유통 중개사로, 전체 매출의 대부분이 해외에서 발생한다. 여러 브랜드 상품을 한 번에 주문할 수 있는 플랫폼과 현지 물류 거점 운영을 통해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며, 국내 브랜드사는 별도 유통 채널 없이 실리콘투의 네트워크를 활용해 수출이 가능하다.경쟁사인 YesAsia 대비 운송비 비중이 낮은 이유는 한국에 물류 기반을 두고, 고수익 B2B 중심 사업을 운영하며, 자체 물류센터로 공급망을 내재화했기 때문이다.또한, 실리콘투는 재고 부담을 줄이기 위해 초기 입고량을 제한하고, 판매 데이터 기반으로 탄력적으로 물량을 조정한다. 자체 ERP로 유통기한과 판매 흐름을 관리하며, 과잉 재고 없이 다양한 브랜드를 유통할 수 있는 구조를 갖..
주식 뉴스를 보다 보면 ‘자사주 매입’, ‘자사주 소각’ 같은 용어를 자주 접하게 된다. 처음에는 이게 무슨 뜻인지 몰라서 그냥 넘겼지만, 공부하면서 점점 이해가 되었다. 이 글에서는 자사주 매입과 소각이 무엇인지, 기업과 주주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정리해보았다.1. 자사주란?자사주란 말 그대로 회사가 자기 회사의 주식을 사서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말한다. 원래는 주식이 투자자 손에 있어야 하는데, 그걸 회사가 직접 사서 갖고 있으면 자사주가 된다.2. 자사주 매입이란?자사주 매입은 회사가 시장에서 자기 주식을 회삿돈으로 사들이는 것을 말한다.자사주 매입의 목적주가 부양: 수요가 늘어나면 자연스럽게 주가가 오른다.주주 환원: 배당 외에 주주에게 간접적으로 이익을 주는 방법이다.경영권 방어: 자사주는 ..
2025년 들어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다시 한번 세계 경제와 금융 시장을 뒤흔들고 있다. 이번에는 최근 뉴스와 자료를 살펴보며 이 정책이 실제로 주식시장과 산업별로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정리해보았다. 1. 트럼프의 2025년 관세 정책 내용2025년 4월 2일, 트럼프 대통령은 "해방의 날"이라는 표현과 함께 모든 수입품에 최소 10%의 보호무역 관세를 부과하고, 특히 중국산 제품에는 최대 145%까지 부과하겠다는 강경한 입장을 발표했다.특히 철강과 알루미늄에 대해서는 기존 25%였던 관세를 50%로 두 배 인상하면서, 수입 규제를 강화했다. 이 조치는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시행되며, 미국 안보를 위한 조치로 포장되고 있다. 📉 주식시장은 어떻게 반응했나?🔻 급락기: 4월 2일~3..

◼️ 기업 개요회사명: 파크시스템스㈜ (Park Systems)산업군: 기타 측정, 시험, 항해, 제어 및 정밀기기 제조업설립연도: 1997년상장시장: 코스닥 (종목코드: 140860)본사 위치: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광교로 109주요 사업: 원자현미경(AFM) 및 첨단 계측장비 제조, 도매, 무역사업 구조: 산업용 장비(약 74%), 연구용 장비(약 24%), 기타(약 2%)최근 전략: 스위스 Lyncee Tec 인수로 광학 계측 기술 역량 강화, 글로벌 판매망 확장, 산업용 AFM 시장 점유율 확대 ◼️ 최근 실적 요약 (2024년 기준)매출액: 1,418억 4천만 원 (전년 대비 +24%)영업이익: 329억 6천만 원 (전년 대비 +27%)당기순이익: 389억 1천만 원 (전년 대비 +49%)ROE..
"새정권 들어서면 집값 상승"…우르르 몰리자 '발칵'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60212991 [단독] "새정권 들어서면 집값 상승"…우르르 몰리자 '발칵'[단독] "새정권 들어서면 집값 상승"…우르르 몰리자 '발칵', 대출금리 역주행 기준금리 내렸는데 은행 주담대 줄인상www.hankyung.com 5월 29에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2.75%에서 2.50%로 0.25%포인트 인하했다. 경기 둔화와 낮은 성장률 전망(0.8%)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로, 지난해 10월 이후 네 번째 금리 인하였다. 그런데 6월이 되자마자 주담대 금리를 줄인상했다는 기사가 나왔다. 오늘은 관련해서 알아보았다. 기사 요약1. 주담대 금리 인상은행들이 주담대 금리를 인상했고 특히 인..

'디지털 달러' 시대 급진전…원화 리디노미네이션 논의는 [한상춘의 국제경제 읽기]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60189841 '디지털 달러' 시대 급진전…원화 리디노미네이션 논의는 [한상춘의 국제경제 읽기]'디지털 달러' 시대 급진전…원화 리디노미네이션 논의는 [한상춘의 국제경제 읽기] , 스테이블 코인 법안 이달 상원 통과 예정 디지털 화폐 '전환점' 한국도 곧 도입 가능성 한은 통화정책 변해www.hankyung.com 오늘 한국경제 기사인데 유독 어렵게 느껴지는 개념들이 많았다. 요즘 많이 언급되는 스테이블코인, 비트코인, 미국관세, 미국과 중국의 패권 경쟁 등 여러 개념들이 등장하는데, 관련해서 알아보았다. 우선 기사 자체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1. ..

미국 경제 관련해서 항상 언급되는 게 국가 부채인데, 최근엔 미국의 부채한도 협상이 자주 뉴스에 오르내렸다. 문득 일본의 경우도 국가부채가 상당하다고 들었는데, 거기는 왜 오랜 시간 돈을 계속 찍어내는 게 가능했는지 궁금해졌다. 단지 내국인이 국채를 많이 들고 있어서 그런 걸까? 아니면 자본주의의 맹점이라도 있는 걸까?조금 더 깊이 공부해봤는데, 그 과정에서 엔캐리 트레이드 청산이 일본의 통화 정책과도 연관된다는 걸 알게 되었다. 오늘은 **일본, 미국, 한국의 GDP 대비 부채비율(총부채/순부채 포함)**을 비교하고, 왜 나라별로 대응 방식이 다른지 정리해보겠다.일본은 왜 돈을 무제한으로 찍을 수 있었을까?일본은 2024년 기준으로 **GDP 대비 총부채 비율이 약 216%**로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
경제 뉴스나 유튜브에서 자주 나오는 말 중에 "단기국채", "장기국채", "금리 인상", "수익률 곡선 역전" 같은 용어들이 있다. 처음 들을 땐 너무 어렵게 느껴졌는데, 이번에 제대로 정리해보면서 조금씩 감이 잡혔다.내가 이해한 내용을 한 번 정리해본다. 혹시 나처럼 헷갈렸던 분들한테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국채는 정부가 발행하는 채권먼저 국채라는 건, 정부가 돈이 필요할 때 발행하는 채권이다. 쉽게 말하면, “정부가 돈 좀 빌려줄래? 나중에 이자 쳐서 갚을게!”라는 약속장 같은 거다. 이걸 사는 사람이 투자자고, 투자자는 정부에 돈을 빌려주면서 이자 수익을 받는다.단기국채 vs 장기국채 – 만기의 차이구분단기국채장기국채만기1년 이내10년 이상이자율보통 낮음보통 높음변동성낮음높음 (금리 민감도 큼)주..
최근 '코리아 밸류업 지수'라는 말을 자주 접하게 된다. 처음엔 단순히 또 하나의 주가지수인가 싶었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니 코스피200과는 확연히 다른 기준을 가진 지수였다. 투자 공부를 시작한 입장에서 이 둘을 비교해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해, 내가 이해한 내용을 정리해본다.코스피200이란?코스피200은 한국 증시를 대표하는 대형주 200개로 구성된 지수다. 시가총액(기업가치) 상위 기업들을 모아 만든 지수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현대차 등 누구나 아는 대기업이 대부분 포함된다. 한국 주식시장의 흐름을 반영하는 대표 지수로서 역할을 한다.선정 기준은 단순하다. "돈 많은 순", 즉 시가총액이 높은 기업부터 순서대로 200개를 고른다.코리아 밸류업 지수는 무엇이 다른가?이 지수는 단순히 우량주를 ..
최근 미국 경제나 세계 투자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 들어봤을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Inflation Reduction Act).처음 들었을 때는 “물가를 줄이겠다는 법이구나?”라고 생각했지만, 내용을 살펴보니 전기차, 청정에너지, 의료비, 세금 등 다양한 이슈가 얽혀 있는 종합 정책이었다.그래서 오늘은 IRA에 대해 공부하면서 초보자의 시선으로 정리한 내용을 공유하려고 한다.중간중간 “이건 아직 헷갈린다” 싶은 부분도 적어두었다.IRA(인플레이션 감축법) 란IRA는 2022년 미국 바이든 정부가 통과시킨 법안으로, 이름처럼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을 잡기 위한 목적이 있다.하지만 실제로는 크게 3가지 정책 목표를 가지고 있었다.기후 변화 대응: 전기차, 태양광 같은 청정 에너지 확대의료비 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