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물가상승 (3)
경제 무지 탈출기

최근 미국 금융시장은 금리와 관련해 매우 복잡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물가가 충분히 내려오지 않아 연준이 금리를 쉽게 낮추지 못하고 있고, 이에 따라 국채 금리가 다시 급등하고 있다. 보통 2년물을 단기, 10년물을 장기라고 말하는데 아래 표를 보면 1년 전에는 장단기 금리차가 역전되어서 '단기>장기'였다. 현재는 우리가 익숙한 '장기>단기' 형태로 돌아오긴 했는데, 그 차이가 한달 전 대비 더 벌어진 상황인거다. 장단기 금리차의 의미장단기 금리차는 대표적으로 10년물 국채금리에서 2년물 국채금리를 뺀 값으로 계산한다. 이는 단순한 금리 차이가 아니라 경기 전망과 시장 심리를 읽을 수 있는 중요한 지표다.보통 두 가지 경우가 있다.장단기 금리차 확대 (Yield Curve Steepening)→ 장기..

어제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가 발표되었다. 발표 직후 금리 인하 기대감이 약화되면서 미국 국채 금리가 10년물은 4.5%, 30년물은 5%를 넘어섰다. (관련해서는 다음 글에서 더 다뤄보겠다.)미국 소비자물가지수는 매월 둘째주나 셋째주에 발표되는데, 3가지로 나누어져 있는 걸 알 수 있다. 오늘은 관련해서 전반적인 내용을 알아보았다. 미국 CPI와 근원CPI의 의미Headline CPI는 미국 소비자들이 실제로 지출하는 모든 품목의 가격 변화를 담고 있는 지표다. 즉, 식료품, 에너지, 주거비, 의료, 교통비 등 가계가 돈을 쓰는 모든 항목을 망라한다. 때문에 휘발유값이나 식료품 가격처럼 단기간에 크게 변동할 수 있는 항목도 그대로 포함된다.반면, 근원소비자물가지수(Core CPI)는 이 중에서 식료품(F..
왜 이런 일이 벌어질까?최근 뉴스에서는 "한국은행이 금리를 내릴까?", "미국은 안 내리는데 괜찮을까?"라는 이야기가 자주 등장한다. 금리는 나라 경제의 체온계와 같다. 높이면 열을 식히듯 경기를 식히고, 낮추면 따뜻하게 만들어 사람들이 돈을 더 쓰게 만든다. 그런데 미국은 여전히 금리를 높게 유지하는 상황에서 우리나라만 금리를 내리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환율부터 출렁거릴 수 있다미국 금리는 높은데 한국 금리는 낮아지면, 외국의 큰손 투자자들은 "한국은 이자도 적게 주니 돈을 빼자"라고 판단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달러를 사는 수요는 많아지고, 원화 가치는 떨어진다. 이로 인해 1달러에 1,500원이 넘게 줄 수도 있다. 이를 환율 상승이라고 한다.환율이 오르면 좋은 점도 있다. 우리나라 물건이 외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