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미국경제 (7)
경제 무지 탈출기

최근 미국 금융시장은 금리와 관련해 매우 복잡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물가가 충분히 내려오지 않아 연준이 금리를 쉽게 낮추지 못하고 있고, 이에 따라 국채 금리가 다시 급등하고 있다. 보통 2년물을 단기, 10년물을 장기라고 말하는데 아래 표를 보면 1년 전에는 장단기 금리차가 역전되어서 '단기>장기'였다. 현재는 우리가 익숙한 '장기>단기' 형태로 돌아오긴 했는데, 그 차이가 한달 전 대비 더 벌어진 상황인거다. 장단기 금리차의 의미장단기 금리차는 대표적으로 10년물 국채금리에서 2년물 국채금리를 뺀 값으로 계산한다. 이는 단순한 금리 차이가 아니라 경기 전망과 시장 심리를 읽을 수 있는 중요한 지표다.보통 두 가지 경우가 있다.장단기 금리차 확대 (Yield Curve Steepening)→ 장기..

어제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가 발표되었다. 발표 직후 금리 인하 기대감이 약화되면서 미국 국채 금리가 10년물은 4.5%, 30년물은 5%를 넘어섰다. (관련해서는 다음 글에서 더 다뤄보겠다.)미국 소비자물가지수는 매월 둘째주나 셋째주에 발표되는데, 3가지로 나누어져 있는 걸 알 수 있다. 오늘은 관련해서 전반적인 내용을 알아보았다. 미국 CPI와 근원CPI의 의미Headline CPI는 미국 소비자들이 실제로 지출하는 모든 품목의 가격 변화를 담고 있는 지표다. 즉, 식료품, 에너지, 주거비, 의료, 교통비 등 가계가 돈을 쓰는 모든 항목을 망라한다. 때문에 휘발유값이나 식료품 가격처럼 단기간에 크게 변동할 수 있는 항목도 그대로 포함된다.반면, 근원소비자물가지수(Core CPI)는 이 중에서 식료품(F..

어제 밤에는 (6월 23일) 미국 제조업 PMI, 서비스업 PMI, 기존주택판매 3가지 지표가 발표되었다. 이번에는 각 지표의 의미와 결과 해석, PMI 조사·계산 방법, 그리고 투자자와 금리 예측 관점에서 다른 지표들과 비교 정리해 보았다. 1. 어제 발표된 3대 지표 의미 및 결과 해석①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 6월 예비치의미: 공장·제조업 구매 관리자 대상 설문 기반의 경기 체감 지수결과: 52.0 (예측 51.1 / 이전 52.0)해석: 50 이상은 경기 확장 → 예상보다 좋았고, 전월과 동일하게 확장세 유지②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 – 6월 예비치의미: 금융, IT, 의료 등 서비스업의 체감 경기 측정결과: 53.1 (예측 52.9 / 이전 53.7)해석: 예상보다 약간 좋..

미국에서 매주 발표되는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고용 시장과 경기 상황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선행 경제지표다. 특히 이 지표는 시장 참여자들과 정책 결정자들이 실시간으로 경기를 판단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실업수당 청구건수란?실업수당 청구건수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초기 실업수당 청구건수(Initial Jobless Claims): 한 주 동안 새롭게 실업수당을 신청한 사람들의 수.연속 실업수당 청구건수(Continuing Jobless Claims): 이미 실업수당을 받고 있던 사람이 이번 주에도 계속 수령 중인 수.두 지표 모두 미국 노동부(Department of Labor)에서 매주 목요일 오전 8시 30분(미 동부시간)에 발표되며, 통상적으로 계절 조정(seasonally adjust..

investing.com 의 경제캘린더 메뉴에 들어가면 국가별 주요 경제 지표 발표 일정을 확인할 수 있다. 국가는 '미국', 중요성은 '별표 3개' 으로 필터링해서 조회해보니 이번주에만 중요한 발표가 10건이나 있다. 이 중 어제 발표한 '소매판매' 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소매 판매 지수란?미국 전역의 소매점, 온라인 쇼핑몰, 식당, 주요소 등에서 발생한 매출을 합산한 수치다.미국 경제에서 소비는 GDP의 약 70%를 차지하는데, 그 중 소매 판매는 전체 소비의 절반 정도를 반영한다. 따라서 소비 심리가 좋아지면 → 소매 판매 증가 → 경기 회복 시그널로 보고, 소비가 줄면 → 소매 판매 감소 → 경기 둔화 우려 로 이어지기도 한다. 따라서 연준(Fed)은 금리를 결정할 때 이 지표를 중요하게 본다..

'디지털 달러' 시대 급진전…원화 리디노미네이션 논의는 [한상춘의 국제경제 읽기]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60189841 '디지털 달러' 시대 급진전…원화 리디노미네이션 논의는 [한상춘의 국제경제 읽기]'디지털 달러' 시대 급진전…원화 리디노미네이션 논의는 [한상춘의 국제경제 읽기] , 스테이블 코인 법안 이달 상원 통과 예정 디지털 화폐 '전환점' 한국도 곧 도입 가능성 한은 통화정책 변해www.hankyung.com 오늘 한국경제 기사인데 유독 어렵게 느껴지는 개념들이 많았다. 요즘 많이 언급되는 스테이블코인, 비트코인, 미국관세, 미국과 중국의 패권 경쟁 등 여러 개념들이 등장하는데, 관련해서 알아보았다. 우선 기사 자체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1. ..

미국 경제 관련해서 항상 언급되는 게 국가 부채인데, 최근엔 미국의 부채한도 협상이 자주 뉴스에 오르내렸다. 문득 일본의 경우도 국가부채가 상당하다고 들었는데, 거기는 왜 오랜 시간 돈을 계속 찍어내는 게 가능했는지 궁금해졌다. 단지 내국인이 국채를 많이 들고 있어서 그런 걸까? 아니면 자본주의의 맹점이라도 있는 걸까?조금 더 깊이 공부해봤는데, 그 과정에서 엔캐리 트레이드 청산이 일본의 통화 정책과도 연관된다는 걸 알게 되었다. 오늘은 **일본, 미국, 한국의 GDP 대비 부채비율(총부채/순부채 포함)**을 비교하고, 왜 나라별로 대응 방식이 다른지 정리해보겠다.일본은 왜 돈을 무제한으로 찍을 수 있었을까?일본은 2024년 기준으로 **GDP 대비 총부채 비율이 약 216%**로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