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한국경제 (2)
경제 무지 탈출기

어제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가 발표되었다. 발표 직후 금리 인하 기대감이 약화되면서 미국 국채 금리가 10년물은 4.5%, 30년물은 5%를 넘어섰다. (관련해서는 다음 글에서 더 다뤄보겠다.)미국 소비자물가지수는 매월 둘째주나 셋째주에 발표되는데, 3가지로 나누어져 있는 걸 알 수 있다. 오늘은 관련해서 전반적인 내용을 알아보았다. 미국 CPI와 근원CPI의 의미Headline CPI는 미국 소비자들이 실제로 지출하는 모든 품목의 가격 변화를 담고 있는 지표다. 즉, 식료품, 에너지, 주거비, 의료, 교통비 등 가계가 돈을 쓰는 모든 항목을 망라한다. 때문에 휘발유값이나 식료품 가격처럼 단기간에 크게 변동할 수 있는 항목도 그대로 포함된다.반면, 근원소비자물가지수(Core CPI)는 이 중에서 식료품(F..

미국 경제 관련해서 항상 언급되는 게 국가 부채인데, 최근엔 미국의 부채한도 협상이 자주 뉴스에 오르내렸다. 문득 일본의 경우도 국가부채가 상당하다고 들었는데, 거기는 왜 오랜 시간 돈을 계속 찍어내는 게 가능했는지 궁금해졌다. 단지 내국인이 국채를 많이 들고 있어서 그런 걸까? 아니면 자본주의의 맹점이라도 있는 걸까?조금 더 깊이 공부해봤는데, 그 과정에서 엔캐리 트레이드 청산이 일본의 통화 정책과도 연관된다는 걸 알게 되었다. 오늘은 **일본, 미국, 한국의 GDP 대비 부채비율(총부채/순부채 포함)**을 비교하고, 왜 나라별로 대응 방식이 다른지 정리해보겠다.일본은 왜 돈을 무제한으로 찍을 수 있었을까?일본은 2024년 기준으로 **GDP 대비 총부채 비율이 약 216%**로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