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인플레이션 (2)
경제 무지 탈출기

어제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가 발표되었다. 발표 직후 금리 인하 기대감이 약화되면서 미국 국채 금리가 10년물은 4.5%, 30년물은 5%를 넘어섰다. (관련해서는 다음 글에서 더 다뤄보겠다.)미국 소비자물가지수는 매월 둘째주나 셋째주에 발표되는데, 3가지로 나누어져 있는 걸 알 수 있다. 오늘은 관련해서 전반적인 내용을 알아보았다. 미국 CPI와 근원CPI의 의미Headline CPI는 미국 소비자들이 실제로 지출하는 모든 품목의 가격 변화를 담고 있는 지표다. 즉, 식료품, 에너지, 주거비, 의료, 교통비 등 가계가 돈을 쓰는 모든 항목을 망라한다. 때문에 휘발유값이나 식료품 가격처럼 단기간에 크게 변동할 수 있는 항목도 그대로 포함된다.반면, 근원소비자물가지수(Core CPI)는 이 중에서 식료품(F..
미국 국채금리 상승: 시장의 경고 신호미국의 국채금리가 상승하고 있다는 것은 단순한 금리의 변화가 아닌, 세계 금융시장 전반의 변화를 알리는 중요한 신호다. 국채금리는 미국 정부가 시장에서 자금을 빌릴 때의 비용을 의미하며, 이 금리가 오른다는 것은 국채 수요가 줄어들거나 공급이 늘어난다는 뜻이다. 이는 곧 정부의 재정적자 확대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재정적자가 커지면 미국 정부는 더 많은 국채를 발행해야 하고, 시장에 쏟아지는 국채 물량이 많아질수록 투자자들은 더 높은 금리를 요구하게 된다. 동시에, 투자자들이 미국의 미래 인플레이션이나 재정 건전성에 의문을 품는 경우에도 국채를 덜 선호하게 되고, 그 결과로 금리는 상승한다.이러한 금리 상승은 미국 내 기업의 자금조달비용 증가, 주택담보대출금리 상승..